하이브리드 워크플레이스 구현을 위한 모든 것!
하이브리드 워크플레이스로 근무 환경이 변화하면서, 이제 보안 인프라 영역에서는 사내 뿐만 아니라 원격 근무 환경에도 적합한 새로운 체계 구축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비교적 준비가 잘 됐던 조직들은 다양한 툴을 도입해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사내에 있는 시스템 및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VPN, VDI, 클라우드 등을 활용해 원격 업무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변화해 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들은 특수 환경이라는 전제에서 시스템 및 정책이 설계됐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불편함과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원격, 재택 근무 환경은 이제 일상화된 업무환경으로 고려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가상 콘텐츠 인프라, VCI (Virtual Content Infrastructure)를 많은 조직들이 주목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VCI in 엔터프라이즈 환경
VCI는 문서가상화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 혹은 플랫폼이며, 문서 중심의 관리 체계를 통해 정보의 생성부터 유통, 사용, 폐기까지 전 라이프사이클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문서가상화는 개별 문서에 고유 식별 ID를 부여해 문서가 복사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추적이 가능하며, 문서 소유자, 사용 권한, 버전, 이력 등의 정보가 물리적 저장 위치에 상관없이 유지됩니다.
VCI는 이러한 문서가상화 기반 구조를 통해 최신 버전 자동 동기화, 문서 암호화, 사용 내역 추적, 스크린 워터마크 등 다양한 보안 및 협업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문서 파편화와 중복 문제를 줄이고 원격 근무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문서 활용을 지원합니다. 결과적으로 VCI를 통해 조직은 생산성과 보안 수준을 동시에 높여 차세대 데이터 관리 인프라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VCI vs VDI 비교
VCI (Virtual Content Infrastructure) |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
---|---|---|
문서가상화 | 기술 | 데스크탑 가상화 |
VCI 클라이언트
| PC 설치 프로그램
| VDI 클라이언트
|
VCI 가상 드라이브
| 문서 작업 (개인 업무 문서) | 가상 데스크탑 (가상 데스크탑에 문서가 없는 경우 별도 요청) |
가상 드라이브, WEB에서 다운로드
| 문서 작업 (부서 · 회사 문서) | 전화, 이메일로 요청
|
최신 버전 자동 동기화, 링크 공유, 의견 등록 등
| 문서 작업 (문서 협업) | 이메일 첨부, 공유 시스템 파일 등록
|
낮음 (솔루션 도입 비용) | 도입 비용
| 높음 (고성능 중앙 관리 서버, 스토리지, 라이선스 비용) |
높음 (사용자의 PC의 자원 활용) | 문서 업무 Performance
| 낮음 (회사에서 할당한 제한된 가상 자원 활용, 네트워크 연결 속도 저하 시 업무 속도 지연) |
온라인과 동일한 문서 작업 가능
| 오프라인 사용성 (회사 네트워크 미 접속 시 문서 사용) | 문서 작업 & 회사 업무 불가 |
낮음 (스크린 워터마크로 화면 보안 강화) | 업무 화면 유출 위험 (스마트폰 촬영 등으로 내부 정보 유출) | 높음 (재택 환경에서 스마트폰 촬영 후 유출 위험) |
문서가상화 vs 문서중앙화 비교
문서가상화 (Content Virtualization) | 문서중앙화 (File Centralization) | |
---|---|---|
문서가상화 | 제품 개요 | 문서 중앙 집중화 (중앙시스템 內 강제 저장) |
파일 위치에 상관 없는 버전 관리
| 버전 관리
| 중앙시스템 내에서만 지원
|
파일을 열어보는 순간 동기화
| 최신 버전 동기화
| 지원 불가 (중앙시스템 내에서만 지원) |
중복 문서, 오래된 문서, 사용하지 않는 문서에 대한 관리
| ROT 관리
| 제한적 중복 문서 관리
|
문서 전체 라이프사이클 관리 (사용 내역, 파생 문서, 권한 변경, 버전 이력, 추적 등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지원) | 문서 사용 및 추적
| 제한된 영역 내 가능 (문서 사용 내역) |
온라인과 동일한 문서 작업 가능
| 오프라인 사용성 (회사 네트워크 미 접속 시 문서 사용) | 미리 사용할 문서를 PC로 다운로드 받아야 함
(수정 후 업로드 필요) |
낮음 (스크린 워터마크로 화면 보안 강화) | 업무 화면 유출 위험 (회사 네트워크 미 접속 시 문서 사용) | 높음
(재택 환경에서 스마트폰 촬영 후 유출 위험) |